오픈소스로 제공되는 브라우저들이 사용하는 소스
Webkit
http://www.webkit.org/
애플에서 나온 웹 렌더링 엔진
사파리에 사용될듯?
Blink
http://www.chromium.org/blink
구글에서 웹킷을 기반으로 만든 웹 렌더링 엔진
크롬에사용된다
오픈소스로 제공되는 브라우저들이 사용하는 소스
Webkit
http://www.webkit.org/
애플에서 나온 웹 렌더링 엔진
사파리에 사용될듯?
Blink
http://www.chromium.org/blink
구글에서 웹킷을 기반으로 만든 웹 렌더링 엔진
크롬에사용된다
2.7x
Django
SqlAlchemy
pyftpdlib
beautifulsoup4
...
3.x
pylatte
http://www.pylatte.org/
큰 사이트들은 API를 제공한다. 그런데 같은 기능을 하는거라도 각 사이트마다 구조도 제각각이고 해서 쓰기도 불편하다. 사실... 인증절차도 그냥 쌩코드로 시작하면 상당히 힘들다.
이런 문제 때문에 소셜관련 라이브러리/프레임워크가 많이 나와있는데...
진짜 맘에드는건 잘 없다.
그 목록.
fHalo
https://github.com/fHalo/fHalo
페이스북 프레임워크
Spring Social
별로 편한지 모르겠다.
문서도 잘 되어있지도 않고...
GoogleChrome OS
HP webOS
Webinos - 모바일,웹,티비통합플랫폼
git는 기본적으로 리눅스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하게 되어있는데 ssh프로토콜이 다 열려있는것도 아니고 해서 사용하기 불편할 때가 많다. git 명령어는 리포지터리 자주 생성하는것도 아니고 해서 매번 새로 찾게된다.
그래서 사용하기 편하게 되어있는 것들을 설치해서 사용한다.
gitolite 유명한넘이고, git를 처음 쓰기 시작할 때 설치를 시도 했었는데 설치하다가 자동설치가 안되서 그냥 말았다. 이정도도 안되면 그냥 apache에 연결해서 쓰는것보다 더 편할것도 없으니...
그래서 apache http프로토콜로 연결해서 사용해왔었는데 좋은놈을 발견했다.
gitblit groovy기반으로 만들어진넘인데... 그냥 실행만 시키면 된다.
공식사이트는 http://gitblit.com/
Call to undefined function create_function()